A. 가설검정의 원리
통계적 추론 중 대표적인 방법, 표본의 정보를 활용하여 모집단에 대한 가설의 합당성 여부를 판정하는 과정
가설설정 > 검정통계량 > 기각역 or 유의확률 > 결론
>> 두 개의 상반된 가설 중 어느쪽이 맞는지 결론 제시
통계적 가설검정이란?
- 표본으로부터 주어지는 정보를 이용하여, 모수에 대한 예상, 주장 또는 추측 등의 옳고 그름을 판정하는 과정
가설
- 통계적 가설은 모수에 대한 예상, 주장 또는 추측을 표현한 것.
1. 귀무가설(H₀)과 대립가설(H₁)의 개념
- 귀무가설(H₀) : 지금까지 사실로 알려져 있는 가설
- 대립가설(H₁) : 표본자료로부터의 강력한 증거에 의해 입증하고자 하는 가설
귀무가설(H₀)은 일반적으로 "변화가 없다", "효과가 없다", 또는 "차이가 없다"와 같은 기본적인 주장을 내용으로 하는 가설입니다. 반면, 대립가설(H₁)은 귀무가설과 반대되는 가설로, 연구자가 입증하고자 하는 주장을 담고 있습니다.
가설 검정은 표본의 정보가 귀무가설 (H₀)에 대한 충분한 반증이 되는가를 보는 것이다.
귀무가설 : 변화가 없다. 같다. 차이가 없다. 효과가 없다.
대립가설 : 변화가 있다. 다르다 . 차이가 있다. 효가가 있다.
결론도 '귀무가설을 기각' 또는 귀무가설을 기각하지 못함' 중 하나로 표현한다.
예시:
연구자가 새로운 약이 두통을 더 빨리 완화시킨다고 주장할 때, 귀무가설은 "새 약은 기존 약과 효과가 동일하다"가 됩니다. 대립가설은 "새 약이 기존 약보다 두통 완화에 더 효과적이다"입니다.
2. 검정통계량의 개념
검정통계량은 가설검정에서 사용되는 측정값으로, 표본 데이터로부터 계산되어 귀무가설의 타당성을 평가하는 데 사용됩니다.
- 가설검정에는 단측검정(one-tailed, one-sided)과 양측검정(two-tailed, two-sided)이 있다.
- 단측검정에는 모집단 평균을 기준으로 왼쪽 검정(lower tail)과 오른쪽 검정(upper tail)이 있음
가설의 형태를 결정할때 내 검정의 목적가 무엇이냐를 대립가설에 작성하고, 귀무가설에는 등호를 쓰면된다.
예시 )
[양측 검정] - 같거나 다르다.
• 귀무가설 : μ = 100
• 대립가설 : μ ≠ 100
[단측 검정] - 왼 꼬리 검정
• 귀무가설 : μ ≥ 100
• 대립가설 : μ < 100
[단측 검정] - 오른꼬리 꼬리 검정
• 귀무가설 : μ ≤ 100
• 대립가설 : μ > 100
- 귀무가설과 대립가설 중 어느 하나를 택하는 기준을 결정하는 통계량
- 모집단 모분산이 알려진 정규분포인 경우, 모평균에 관해 검정의 경우
[검정 통계량]
B. 귀무가설 (H₀)의 기각여부를 파난하기 위한 2가지 접근 방식
기각역 또는 유의확률(p-value)에 의한 검정법
- 기각역은 미리 정해진 기준으로, 검정통계량이 이 기각역에 들어올 경우 귀무가설을 기각합니다.
- p-value는 관찰된 검정통계량이 귀무가설 하에서 얻을 수 있는 분포 중 극단적인 값으로 나타날 확률을 의미합니다.
1. 유의수준(p-value) 검정법
귀무가설이 사실인 경우의 검정통계량의 분포에서 대립가설의 방향으로 검정통계량의 관찰값보다 더 극단적인 값이 나올 확률로 계산된다.
유의수준은 귀무가설을 기각하는 데 사용되는 확률의 임계값으로, 통상적으로 0.05(5%) 또는 0.01(1%)을 사용합니다. 이는 귀무가설이 사실일 때, 그것을 기각할 확률의 최대 허용 한계를 의미합니다.
유의확률(p-value)의 해석
유의확률은 값이 작을수록 해당하는 표본의 귀무가설이 사실인 경우의 표본으로 보기 어려우며, 대립가설을 더욱 지지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이다.
유의수준를 계산했는데 이 영역에 포함될 경우, 귀무가설을 기각하고 대립가설을 채택하게 되므로 기각역(Critical Region)이라고 한다.
반대로 1 - α 영역은 귀무가설을 채택하게 되기 때문에 채택역(Acceptance Region)이라고 한다.
앞서 계산한 검정통계량이 x축 좌표라고 했는데, 이 값이 어느 영역에 있는지에 따라 귀무가설을 채택하거나 기각하게 된다.
C. 검정의 오류 : 제1종 오류와 제2종 오류
실제현상 | |||
귀무가설이 사실 | 대립가설이 사실 | ||
검정결과 | 귀무가설 기각하지 못함 | 올바른 의사결정 | 제2종 오류 |
귀무가설을 기각 | 제1종 오류 | 올바른 의사결정 |
- 제1종 오류는 귀무가설이 사실일 때, 잘못해서 그것을 기각하는 오류입니다
- 제 1종 오류의 확률을 α 로 표기함
- 제2종 오류는 대립가설이 사실일 때, 잘못해서 귀무가설을 기각하지 않는 오류입니다
- 제 2종 오류의 확률을 β 로 표기함
예시:
의사가 환자가 질병이 없다는 귀무가설을 가지고 진단했을 때, 실제로는 건강한 환자를 질병이 있다고 잘못 진단하는 것이 제1종 오류입니다. 반면, 실제로는 질병이 있는 환자를 건강하다고 잘못 진단하는 것이 제2종 오류입니다.
'기초 통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NO11_점추정과 구간추정 (1) | 2024.04.18 |
---|---|
No10.[추정과 검정]통계적 추론 개요, 표본추출법 (1) | 2024.04.17 |
No09_그래프에 의한 기술통계 (0) | 2024.04.16 |
No08_수치적 기술통계 - 연관성 (1) | 2024.04.14 |
No07_수치적 기술통계 - 변동성 (1) | 2024.04.13 |